[한토막경제]에코플레이션(ecoflation)
[한토막경제]에코플레이션(ecoflation)
[한토막경제]에코플레이션(ecoflation)
[한토막경제]에코플레이션(ecoflation)

‘환경(ecology)’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의미한다.
이는 환경 기준 강화나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산불, 허리케인의 잦은 발생으로 기업의 제조원가가 상승해
결과적으로 소비재 가격 인상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컨설팅업체 ‘AT커니’는
향후 10년간 ‘에코플레이션’이 소비재 가격의 상승세를 이끄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각 제조업체들이 당장 환경친화적인 생산 기법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영업이익이 2013년까지 13-31%, 2018년까지는 19-47%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에코플레이션은 환경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날로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용어다
한토막경제(經濟)
파란 http://blog.paran.com/freepia
한토막경제(經濟) http://blog.paran.com/freepia
네이버 http://blog.naver.com/lemonpen
한토막경제(經濟)http://blog.naver.com/lemonpen
한토막경제(經濟) http://blog.daum.net/withpoem
기후변화로 인하여 원가가 상승하게 되므로 그 여파가 물가상승의 요인이 됩니다.
에코플레이션이 의미하는 기후변화 및 환경적 요인은 자연재해, 폭염과 가뭄, 열대성 폭풍 등을
말합니다. 가뭄이 심화되면, 곡물생산에 있어 차질이 생기게 되므로 평시보다는 적은 양의
곡물을 생산하고 공급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는 곧 가격상승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죠.
다른 요인들도 같은 이치입니다. 자연재해로 인하여 공장에 화재가 났다면, 이는 바로 기업에게
영향을 주게 되죠, 또 다른 이유로 산불이 났다고 가정한다면, 생각지 못한 재정 지출비용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여러가지 요인으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면서 인플레나 디플레와
같은 위험성을 가지게 됩니다.
교토의정서가 만료되는 2012년 이후의 기후변화 대응 체제를 논의하기 위한 제14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보고 된 바로는각 제조업체들이 당장 환경친화적 생산 기법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이 2013년까지 13~31%, 2018년까지는 19~47%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 까지는 의무감축국에서 제외 되었지만 2013년에는 의무감축국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에코플레이션의 위험성도 점점 증가추세에 있지만, 무엇보다 의무감축국에 들게 되면
한국은 엄청난 리스크를 동반시키게 됩니다. CO2 배출량의 기준치를 몇 배 이상 초과하는 기업들이
대다수이며, 향후 CO2 배출권을 매입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서 엄청난 자금이 투여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곧 기업의 펀더멘털에 영향을 주게 되며, 또 하나의 자금을 투여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